Not a member of Pastebin yet?
Sign Up,
it unlocks many cool features!
- 아래는 오늘 대화에서 헷갈려 보였던 항목들을 모아 만든 “학습 체크리스트”야.
- 각 항목 뒤에는 추천 학습 경로를 바로 붙였어(공식 문서 → 주석 좋은 글/영상 → 실습용 레포 순).
- 표나 소제목 대신 순번과 줄바꿈만 썼으니 그대로 복붙-정리해도 편할 거야.
- package.json
- main / module / exports / types 필드가 언제-어떤 번들에 읽히는지
- npm Docs “package.json fields”, Vite Docs “Library Mode” 예제
- blog.rocketseat.dev/understanding-exports-field (짧고 그림 많음)
- 직접: mini-lib 샘플 (repo: sindresorhus/typescript-starter) checkout
- files 배열과 .npmignore 차이, 무엇이 배포 대상에 들어가는가
- npm Docs “Managing ignored files”
- Kent C. Dodds “How to ship smaller npm packages” 기사
- 실습: npm pack --dry-run으로 결과 확인
- peerDependencies vs dependencies vs devDependencies 역할 구분 (+ npm 7 자동 install 옵션)
- docs.npmjs.com/cli/v10/configuring-npm/peer-dependencies
- Ben Danzer “Why peerDependencies exist” 글
- 실제: react 외부화 예제 pnpm add -D react@latest && npm link
- publishConfig( access, registry, tag )와 private 플래그
- npm Docs “publishConfig” & “scoped packages”
- Egghead 두 분짜리 영상 “Publishing scoped packages”
- type:"module"/"commonjs" 전환이 빌드·테스트 도구(ESLint/Jest)와 충돌할 때 대처법
- Node.js Docs “ESM in Node”, ts-node “How ESM loader works”
- 실습: 하나의 repo에서 "type": "module" vs 없음 비교
- sideEffects 플래그와 tree-shaking, css-in-js 번들에 주는 영향
- webpack Docs “sideEffects”(개념이 같음)
- Vite 공식 FAQ “Why is my code not eliminated”
- semantic-release 같은 버전 자동화 도구와 conventional commits 흐름
- semantic-release/semantic-release README
- Video: The-Primeagen “Automating npm releases”(YouTube, 8 분)
- bin 과 exports.bin: CLIs 배포 구조(필요 시)
- npm Docs “bin”
- Sindre Sorhus “meow” CLI 템플릿 참조
- Vite & Rollup 라이브러리 빌드
- build.lib 옵션(entry, name, fileName, formats)과 rollupOptions.output.globals 설정 순서
- Vite Docs “Library Mode”
- Evan You “Publishing Vue/Vite libs” 글(프레임워크 상관없이 좋아)
- 외부화(external)과 peerDependencies 연동: React, React-DOM 제외 방법
- Rollup Docs “external”, Vite Doc 예시
- @vitejs/plugin-react-swc·vite-plugin-dts·vite-plugin-css-injected-by-js 플러그인 순서 충돌
- 각 GitHub README “Usage” 섹션
- Issue 링크: vite-plugin-css-injected-by-js #49(rollup 버전 mismatch)
- rollup vs vite 내부 rollup 버전 차이로 생기는 타입 불일치 에러 해결
- Vite CHANGELOG “Rollup 4 migration”
- 해결책: 플러그인 버전을 ^4 호환으로 맞추는 예시 PR
- CSS Modules 네이밍 패턴(generateScopedName)과 라이브러리 소비처 충돌 방지 전략
- Vite Docs “css.modules”
- css-modules.org naming FAQ
- 자산 처리: assetsInlineLimit·@rollup/plugin-url(base64)·publicDir 차이
- Vite Docs “assets handling”
- Rollup plugin-url README
- dts 자동 생성 옵션(rollupTypes vs insertTypesEntry)과 typesVersions
- vite-plugin-dts README + TypeScript Handbook “Declaration Files”
- npm link / unlink 로컬 테스트 흐름과 pnpm local packages
- npm Docs “link”, pnpm Docs “workspace development”
- optimizeDeps·ssr.optimizeDeps 옵션이 빌드 안 잡히는 모듈 처리할 때 쓰는 방법
- Vite Docs “dependency pre-bundling”
- npm audit moderate 취약점의 의미와 npm-fund 메시지 정리
- npm Blog “npm audit explained”
- Auth0 “Interpreting npm audit results”
- 바로 적용해볼 짧은 실습 루트
- 공식 튜토리얼: Vite “Library Mode” → npm org에 베타 배포(npm publish --tag beta)
- Try-Module.dev(온라인 REPL)로 exports 매트릭스 테스트
- Codesandbox: “vite-react-lib-template” fork → peerDeps 체크 → import in CRA
- 필요한 링크들은 브라우저에 한 번씩 북마크해 두고, 대략 1 주일 동안 “패키지” 파트 → “Vite” 파트 순으로 파면 깔끔히 정리될 거야. 다음에 실제 배포 직전 체크리스트가 필요하면 알려줘!
Add Comment
Please, Sign In to add comment